2017년 개봉한 영화 『청년경찰』은 겉보기엔 유쾌한 청춘 액션 코미디지만, 그 안을 들여다보면 꽤 묵직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이다. 박서준과 강하늘의 케미, 빠른 전개, 적절한 액션과 유머는 분명 영화의 외피다. 그러나 그 뒤엔 청년 세대가 마주한 무력감, 제도의 빈틈, 정의에 대한 갈망이 고스란히 깔려 있다. 이번 글에서는 이 영화가 전달하는 사회적 메시지와 캐릭터의 변화, 그리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구조적 한계에 대해 이야기해 본다.
줄거리 요약 – 무심코 지나친 장면에서 시작된 이야기
주인공 기준(박서준)과 희열(강하늘)은 경찰대학교에 재학 중인 훈련생이다. 성격도, 사고방식도 극과 극인 두 사람은 서로에게 투덜대면서도 묘한 균형을 이룬다. 평범한 외박 중 우연히 납치 사건을 목격한 두 사람은 경찰에 신고하지만, 수사에 속도가 붙지 않자 스스로 나서기로 결심한다. 이들의 무모한 추적은 곧 불법 장기 이식 조직이라는 거대한 범죄의 실체와 맞닥뜨리게 만든다. 경찰도 아니고, 수사권도 없는 이들은 오직 본능과 정의감만으로 움직인다.
이들의 행동은 법적으로는 위태롭지만, 그 누구보다 현실에 절박하게 반응하는 시민의 모습에 가깝다. 영화는 중반부터 액션의 밀도를 높이며, 두 사람이 점점 체력적, 심리적 한계에 다다르는 모습을 그린다. 그리고 그 순간, 제도권의 한계와 시민의 무력감이 본격적으로 드러난다.
사회 시스템 비판 – ‘정의는 있지만, 움직이지 않는다’
『청년경찰』은 정의라는 개념은 존재하지만, 그 정의가 작동하지 않는 사회를 정면에서 다룬다.
영화 초반부터 경찰 조직은 일관되게 느리다. 피해자가 확실치 않으면 우선순위는 밀리고, 신고자의 진술만으로 수사는 좀처럼 시작되지 않는다. “수사 중입니다”라는 말은 책임 회피의 언어처럼 들린다. 그 틈에서 기준과 희열은 시스템 밖에서 정의를 실현하려는 ‘비공식 시민’으로 변모한다. 법을 지켜야 할 경찰 훈련생이, 법이 멈춰 있는 틈을 뚫고 뛰어드는 모순. 그 모순은 한국 사회에서 익숙한 풍경이기도 하다.
특히 영화 속 인신매매와 장기 이식은 단순한 스릴러 소재가 아니다. “그런 일이 현실에 가능할까?”보다 중요한 질문은, “그런 일이 가능해질 때까지 우리는 무엇을 하지 않았는가”다. 영화는 이 범죄 조직을 마치 또 다른 사회의 축소판처럼 묘사한다. 비공식적이지만 체계적이며, 법망 밖에서 작동하는 거대한 구조. 결국 영화는, 제도만으로는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 현실, 그리고 정의가 실현되기 위해 시민의 용기까지 요구되는 불편한 사회를 드러낸다.
캐릭터 대비 – 이상과 현실 사이에 선 청춘
기준과 희열은 단순히 성격이 다른 두 친구가 아니다. 이들은 이성과 감성, 이상주의와 현실주의, 무모함과 신중함이라는 두 축을 나눠 가진 청춘의 양면이다. 기준은 직선적이고 감정에 충실하다. 세상의 부조리를 참지 못하고, 행동이 앞선다. 반면 희열은 규칙을 따지고, 체계적인 접근을 중시한다. 처음에는 말 그대로 ‘충돌’에 가까운 둘이지만, 점차 서로의 방식에 영향을 받으며 성장해 간다.
흥미로운 점은, 영화가 둘 중 누구의 방식이 옳다고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기준은 큰 부상을 입고, 희열은 결국 행동이 원칙을 앞지른다. 그리고 그 끝에서야 정의는 단지 옳은 생각만으로는 실현되지 않는다는 것, 말보다 행동이 필요한 때가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.
경찰대학교라는 배경도 의미심장하다. 공권력을 배워가는 ‘과정’ 속에 있는 이들이기에, 이 영화는 완성된 정의가 아닌, 아직 불완전한 이상을 좇는 이야기다. 『청년경찰』은 그 미완의 정의감이 불편할 정도로 솔직하다.
결론 – 정의를 외친다는 것, 행동한다는 것
『청년경찰』은 처음엔 유쾌하고 빠르지만, 끝에 다다르면 씁쓸한 질문을 남기는 영화다. 법과 제도는 무기력하고, 현실은 잔인하다.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때로 자격도, 권한도 아닌 ‘한 번의 용기’다. 물론 그 용기는 대가를 치른다. 두 주인공은 큰 상처를 입고, 그 상처는 그들을 성숙하게 만든다.
그러나 영화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. 그 용기를 지켜주지 않는 사회는 어떤가? 우리가 진짜 가져야 할 건, 바로 그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이라는 사실을.
『청년경찰』은 단지 청춘들의 좌충우돌 수사극이 아니다. 그건 아직 어른이 되지 못한 이들이, 세상보다 더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했던 이야기다.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이 영화는, ‘정의’를 믿고 싶었던 우리 청춘들의 초상이다.